2010년 5월 서울의 모 대학병원에서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자기공명영상술)검사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제가 MRI 검사를 받으면서 느낀 몇 가지 사항에 대해서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MRI 검사는 자장이 걸린 장비가 있는 방에 들어가서 약60cm되는 원형의 통 안에 누워서 검사를 받게 되는데 장비의 특성상 MRI장비는 소음이 심하게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MRI 검사 동의서'에 귀마개를 제공한다고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피검자의 몸속에 자성체를 가진 물질이 있는지 확인을 하게 됩니다.

주로 틀니, 보청기, 가발, 머리핀, 금속파편 등을 확인하며, 실제로 탈의실에도 아래 사진과 같이 주의 안내문이 크게 부착되어 있었습니다. 



 

검사실에 들어가는 메인입구 옆에는 공항 출국시 흔히 접하는 금속탐지기가 걸려 있었습니다.


검사자의 안내를 받고 MRI 장비가 있는 검사실에 들어가서 누웠는데 검사자께서 삽입형 귀마개를 주고 이어 헤드폰형 귀마개를 씌워 주었습니다.


이때부터 약 20분간 검사가 이루어졌는데, MRI 스캐너 안에서 들리는 소음은 이중으로 귀마개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격장에서 격발하는 정도의 큰 소리가 들렸습니다.

소리의 종류도 뚜~~, 따따따~~ 등 대략 15~16가지로 다양한 소리가 들려 왔습니다.  


아쉬웠던 것은 필자의 경우 검사 전 보청기를 뺐는데 검사자께서 스피커를 통해 뭔가를 안내하고 있었습니다.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형 귀마개와 헤드폰형 귀마개를 이중으로 착용상태에서 무슨 이야기인지를 알 수가 없었습니다. 다만 눈치로 ‘움직이지 말라’이겠지 하고 정말 긴 시간을 긴장상태로 있었습니다.

 

나중에 조사 자료에 의하면 MRI의 소음은 105~112dB로 상당히 큰 소리였습니다.


이 정도의 소음 크기는 미국청각학회의 자료에 의하면 단 30분만으로 소음성 난청이 가능한 정도입니다. 

검사의 목적이나 신체 부위에 따라 MRI 검사는 1시간까지도 소요되기에 MRI 검사시에 소음 노출은 아주 조심스럽게 다루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외국의 MRI 사진을 검색하다보니 스캐너 옆에 헤드폰이 걸려있는 데 여기에 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헤드폰이 소음 차단 역할과 검사자와의 소통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보여 우리나라도 난청자 분들께서 보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 이러한 시스템이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난청자 분의 경우 검사 중간에 있을 안내방송의 내용을 미리 고지하시어 난청 환자가 검사 도중의 안내방송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함으로서 발생 가능한 검사 오류를 사전에 막고자하는 병원측의 세심한 배려가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컸습니다.



Right Coronal Cochlea CISS Recon images of the cochlea
My brain from test images on Siemens 1.5 Tesla Avanto Scanner 
상기 영상자료 가운데에 달팽이관이 보이시나요?


인공와우 수술 전 검사중의 빠질 수 없는 것이 영상검사(imaging study)입니다.
영상검사는 인공와우 이식기가 위치할 두개골과 유양동의 상태를 파악하고, 특히 와우강내의 전극이 삽입 될 공간과 와우신경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아주 중요합니다. 
각종 검사항목과 그 목적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측두골 고행상도 전산화 단층촬영
   (Temporal Bone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TB-HRCT) 

내이 구조의 기형 확인, 안면신경의 구조 확인, 유양동의 구조 확인.
뇌수막염 후 동반되는 와우강 내 골화(cochlear ossification) 여부 확인.
☞ 인공와우 수술의 난이도와 수술시 예상되는 문제점 예측 



2.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2 강조 MRI 영상에서 와우강 내이 임파액 공간을 확보하므로 와우골화(cochlear ossification) 뿐만 아니라 CT에서 확일 할 수 없는 섬유화로 인한 와우강 폐쇄여부 확인.
내이도 내에서 주행하는 와우신경의 존재여부 확인.


3. T2-weighted CISS(Constructive Interference in Steady State) parasagittal 영상

내이도 내의 수직인 단면 영상을 제공하므로 내이도 내부를 주행하는 4개의 신경을 좀 더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음. (Casselman et al., 199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