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ice iQ는 대화음의 음절간의 발생 소음도 제어하는 신기술로서 미국 스타키보청기 본사가 개발한 특허 기술입니다.

일상대화에서 어음(speech)의 파형은 복잡하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데 비해 주변 소음(noise)의 파형은 단순하고 안정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소음의 파형을 작게 함으로서 어음의 청취를 쉽게 할 수가 있는데 Voice iQ는 어음대소음비(SNR) 조절로 소음 하 어음명료도 증가시키는 기술을 극대화하였습니다.

Voice iQ는 환경별로 4단계 어음대소음비(SNR) 조절이 가능한데, 특히 식당, 바람, 운전 중의 각종 소음(noise)을 원활하게 제어함으로서 기존의 보청기 기술에 비해 월등한 소음하의 어음명료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 SNR : Speech-Noise Ratio [단위:dB]






















미국에서 출시된 초고막형 보청기인 오토렌즈®(Otolens®)가 젊은 직장인층을 중심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오토렌즈®는 국내 식약청(KFDA)에서 허가심사중에 있어 오는 8월 경 이후에나 국내 시장에 선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사진 : 국내 스타키보청기 신기술 세미나장에서 촬영한 실제 오토렌즈®(Otolens®)

제품 사진을 보면 몸체는 성인 손톱사이즈인데 보청기를 빼내는 줄은 거의 2배가 가까울 정도로 길다. 이는 초고막형보청기 오토렌즈®(Otolens®)가 귀바퀴로부터 깊숙하게 착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진 : 오토렌즈®(Otolens®) 착용 모습

실제로 초고막형보청기 오토렌즈®(Otolens®)를 착용한 사진을 보면 투명한 낚시줄과 같은 재질의 보청기 손잡이만 희미하게 노출되어 있습니다. 

그럼 기존의 고막형보청기(CIC)와 초고막형보청기 오토렌즈®(Otolens®)의 착용위치와 크기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사진 : 초고막형보청기 오토렌즈®(Otolens®)와 고막형보청기의 착용 위치

 
그렇다면 초고막형보청기 오토렌즈®(Otolens®)은 어떤 분에게 적용 대상이 되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미국 스타키보청기 본사의 자료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후보(candidacy)로 제한 하고 있습니다. 

 
▼사진 : 초고막형보청기 오토렌즈®(Otolens®) 대상자 (미국 스타키본사)

1) 고막 방향 부분의 외이도의 직경과 길이가 각각 4mm, 8mm 이상 되어야합니다.

▼사진 : 초고막형보청기 오토렌즈®(Otolens®)와 귓본(impression)

2) 청력 기준으로 1kHz이하의 저주파는 65dBHL 이내, 2kHz 이상의 고주파는 85dBHL 이내의 중고도 난청자에 한합니다. 

3) 초소형의 크기이라 보청기의 착용과 빼기 그리고 관리 능력이 충분하셔야만 합니다. 





 


2010년 5월 18일 스타키보청기 본사에서 신기술 세미나가 있었습니다.


원거리 난청 고객의 편익을 위해 보청기 소리조절(휘팅, Fitting)을 전화로 하는 신제품이 소개되었습니다.


지금까지는 보청기의 소리 조정을 위해 일일이 난청센터를 방문하셨습니다만, 이번에 소개된 신기술은 원거리에서 보청기를 사용하시는 고객께서 전화로 청능사에게 전화를 하면 청능사가 전화버튼음으로 소리를 조절(휘팅, Fitting)해주는 스타키만의 신기술이 선 보였습니다.


작동 원리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줄기세포(stem cell)를 이용하여 동물의 청력을 복원한 연구 결과가 2008년 11월 18일(미국 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 신경과학회(Society for Neuroscience)에서 발표돼 주목을 받았습니다.




 
1. 연구개발자 :
박종성, 정한성, 장수정 박사팀 [전남대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2. 연구방법 :
1) 기니피그의 청력을 미리 화약약품으로 잃게 함.
2) 동물 실험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해 손상된 청력을 복원.
3) 줄기세포를 유사 신경세포로 분화시킨 뒤 항생제 투입으로 청각을 잃은 기니피그의 귀 안쪽에 이식해 3개월 후 청력의 일부를 되찾게 함.

3. 연구결과 :
1) 인간의 골수에서 채취한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를 이용해 포유동물인 기니피그의 청각을 되살리는 데 성공함.
2) 청력 및 조직검사를 통해 유모세포 손상으로 소리를 듣지 못하는 기니피그가 상당 부분 청각을 회복하고 세포도 제대로 이식된 것을 확인함.

4. 연구기대효과
1) 줄기세포를 이용해 청력을 잃은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데이터를 확보함.
2) 연구결과가 당장 인간에게 적용할 수 없지만 향후 재생의학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함.


박 교수팀은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신경세포가 손상된 유모세포를 대체하고 제대로 기능을 할 수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2년 동안 이비인후과, 병리학과 교수들과 연구했다고 합니다. 이번 결과는 앞으로 수많은 청각장애인들에게 난청을 치료할 수 있는 잠재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수정 박사는 줄기세포가 어떻게 청력을 회복시켰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은 정확히 규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이 분야에 대한 좀 더 많은 후속 연구가 따라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과학전문지 '네이처(Nature)' 최신호(2008년 8월27일자)에 청각기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유모세포(hair cell)를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다라는 내용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unctional auditory hair cells produced in the mammalian cochlea by in utero gene transfer

Samuel P. Gubbels1,4,5, David W. Woessner1,4,5, John C. Mitchell2, Anthony J. Ricci3 & John V. Brigande1

  1.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Oregon Hearing Research Center, and,
  2. Department of Restorative Dentistry, Division of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School of Dentistry,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3181 SW Sam Jackson Park Road, Portland, Oregon 97239, USA
  3.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801 Welch Road, Stanford, California 94305, USA
  4.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5. Present addresses: Department of Surgery, Division of Otolaryngology, 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 K4/719 CSC, 600 Highland Avenue, Madison, Wisconsin 53792, USA (S.P.G.); Department of Pharmacology and Toxicology, University of Utah, College of Pharmacy, 30 South 2000 East, Room 201, Salt Lake City, Utah 84112, USA (D.W.W.).

Correspondence to: John V. Brigande1 Correspondence and requests for materials should be addressed to J.V.B. (Email: brigande@ohsu.edu).

Sensory hair cells in the mammalian cochlea convert mechanical stimuli into electrical impulses that subserve audition1, 2. Loss of hair cells and their innervating neurons is the most frequent cause of hearing impairment3. Atonal homologue 1 (encoded by Atoh1, also known as Math1) is a basic helix–loop–helix transcription factor required for hair-cell development4, 5, 6, and its misexpression in vitro 7, 8 and in vivo 9, 10 generates hair-cell-like cells. Atoh1-based gene therapy to ameliorate auditory10 and vestibular11 dysfunction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 biophysical properties of putative hair cells induced by Atoh1 misexpression have not been characterized. Here we show that in utero gene transfer of Atoh1 produces functional supernumerary hair cells in the mouse cochlea. The induced hair cells display stereociliary bundles, attract neuronal processes and express the ribbon synapse marker carboxy-terminal binding protein 2 (refs 12,13). Moreover, the hair cells are capable of mechanoelectrical transduction1, 2 and show basolateral conductances with age-appropriate specialization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manipulation of cell fate by transcription factor misexpression produces functional sensory cells in the postnatal mammalian cochlea. We expect that our in utero gene transfer paradigm will enable the design and validation of gene therapies to ameliorate hearing loss in mouse models of human deafness14, 15.


1. 연구개발자 :
존 브리갠드(John V. Brigande) 박사팀 [오리건 보건과학대학, USA]

2. 연구방법 :
쥐실험을 통해 특정 유전자(Atoh1)를 조작하여 유모세포를 생성시킴.

3. 연구결과 : 
쥐의 자궁에서 자라는 배아의 유전자(Atoh1)를 조작한 결과 태어난 새끼들은 다른 보통 새끼들 보다 귀의 유모세포가 많음.
    → 유전자 조작으로 유모세포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보여줌.

4. 연구기대효과 :
1) 이 방법을 배아줄기세포 또는 성체세포의 유전자 재프로그래밍 연구와 결합시키면 새로운 유모세포를 만들어 청각이 손상된 환자에게 이식 가능함.
2) 내이에 있는 유전자를 직접 조작해 새로운 유모세포의 생성을 촉진가능함.




인간에 있어서 난청의 직접적인 원인중 약 60~90%가 유모세포 손상입니다. 약 1만5천500개인 유모세포는 노화, 심한 소음, 유전결함, 약물 부작용, 감염 등으로 손상될 수 있는데, 한번 손상되면 재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한번 손상된 유모세포를 재생한다는 것은 난청장애를 획기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존 브리갠드 박사팀의 유모세포 재생은 비록 쥐 실험에서 가능하지만 추후 인간의 귀에서도 재생이 가능한 연구결과를 기다려봅니다.




1. 이식형 보청기의 개념
이식형 보청기는 귀 뒤쪽의 연골과 외이도관 사이에 길을 내어 그 안에 보청기를 고정하여 고막에 바로 소리를 전달하는 특수 보청기입니다.


2. 이식형 보청기의 구조
기본 구조 및 수술 뒤 착용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진 출처 : 스타키보청기 홈페이지>

3. 이식형 보청기의 적용 대상 
고주파수에만 청력손실이 있는 분들과 기존에 보청기 착용에서 답답함이나 울림현상으로 불편을 겪은 분들에게 권해드립니다.
 
4. 이식형보청기 수술장면


                                                                              <사진 출처 : 스타키보청기 홈페이지>

개인병원에서도 간단한 수술로서 청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식기의 재료는 특수합금재료인 티타늄으로 인체에 무해합니다.







글로벌 보청기기업 스타키코리아(대표 심상돈)는
나노 기술를 접목한 보청기 '데스티니(Destiny) 1600"시리즈를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데스티니(Destiny)" 1600 시리즈는 데스티니 시리즈 중 최고의 성능을 자랑하는 보청기이다. 특히 세계 최초로 '실이 측정 기능(REM)이 내장되어 있다.  

<출처 : 전자신문 2008년 6월 16일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Baha의 개념?

Baha 시스템은 귀 뒤쪽에 넣은 작은 티타늄 임플란트와 음향 처리기를 병용합니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면 음향이 외이도와 중이를 거치지 않고 직접 두개골을 통과하여 전도됩니다. 이 방식을 직접골전도(DBC)라고 합니다.이 장치는 와우관으로 직접 송신하는 통로를 마련함으로써 재래식 골전도(BC) 보청기의 여러가지 단점들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음질을 맑게 향상시킵니다.


Baha의 작동 원리?

Baha 시스템은 직접 골전도에 의해 청각을 재활시키는 좋은 방식입니다.
소수술을 통해 귀 뒤쪽의 뼈에 작은 티타늄 임플란트를 넣은 후 주변의 뼈와 통합시킵니다. 음향 처리기에서 나오는 진동이 뼈를 통과하여 임플란트로 직접 전도됩니다 (직접 골전도). 그러면 다시 두개골이 진동하게 되고 두개골은 음향이 외이도를 통하지 않고 내이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됩니다.


Baha의 적용 대상?

Baha 시스템은 공기전도성 보청기를 사용할 수 없는 전도성/복합성 난청 환자와 단측 농 환자 재활에 사용됩니다.
공기전도성 보청기의 경우에는 음향이 보청기에서 외이도를 통해 고막으로 간 다음 내이로 들어갑니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골전도성 음향 처리기의 경우에는 음향이 외이도나 중이를 거치지 않고 두개골을 통해 직접 내이(와우관)로 들어갑니다.
Baha는 다음과 같은 질환이 있는 사람들의 청력을 복구하는 데 특히 중요합니다.

단측 농 (SSDTM)
외이도의 만성 염증 또는 감염증
선천성 기형 귀
양측 전도성 난청
                         

단측 농 (SSD™)
SSD는 한쪽 내이의 신경 일부/전부가 손상되었을 때, 또는 한쪽 내이로부터 대뇌까지의 신경관이 손상되었을 때 생기는 질환입니다. 미국의 경우만 보더라도 바이러스성 감염, 메니에르병, 외상, 홍역, 또는 외과 수술(예, 청각신경종 수술)의 결과로 생긴 돌발성 농으로 인해 해마다 60,000여명이 SSD의 희생자가 되고 있습니다.

상당수의 SSD 환자들이 생활을 크게 변화시킬 수 밖에 없으며 길 건너기, 업무 회의, 레스토랑, 가족 모임, 자전거 타기, 조깅, 차 운전 등, 일상적인 생활을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단체적 상황에서는 큰 음향을 감당하기가 어렵게 되며 삶에서 가장 간단한 것들이 큰 장애가 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사회적/직업적으로 위축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SSD의 일반적인 치료법으로는 대측성 루팅의 신호 보청기를 사용하든가, 아니면 대부분의 경우 아예 치료를 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그렇지만 Baha 시스템을 사용하면 청력이 소실된 쪽의 음향이 음향처리기에 의해 포착된 다음 그 음파가 두개골을 통해 반대쪽 귀의 와우관으로 보내집니다. 따라서 청력이 소실된 쪽으로 부터 들을 수 있게 됩니다. Baha는 FDA가 허가한 SSD 솔루션입니다.


외이도의 만성 염증 또는 감염증
전도성 난청 중에는 중이 또는 외이의 만성 감염증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치료법으로는 청각장애가 있는 쪽에 공기전도성(AC) 보청기 아니면 일반 BC 보청기를 장치하는 것이었습니다. AC 보청기를 장치하게 되면 외이도가 막혀서 감염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AC 보청기는 강도가 매우 높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잡음이 생기고 (특히 귀에 근치 수술을 한 사람의 경우) 음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Baha 시스템은 외이도를 막지 않기 때문에 감염증이 낫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런 형태의 청각 장애자들에게 좋은 솔루션이 될 수 있습니다.


선천성 기형 귀
중이 또는 외이의 선천성 기형이나 기타 후천성 기형으로 인해 외이도 및 중이가 없거나 불완전하여(폐쇄증) 전도성 난청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유형의 청각 장애자들에게는 전통적인 치료법으로 일반 BC 보청기를 사용해 왔습니다. 이 보청기는 적당한 수준의 음질을 보장하기 위해 용수철 머리띠를 사용하여 머리 위에 단단히 고정시키든가 아니면 안경테에 부착시킵니다.

일반 BC 보청기는 용수철 또는 안경테/측면부에 의해 압박감이 지속되거나  피부가 고주파수의 음향을 약화시키는 이유로 음질이 떨어지는 등,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Baha 음향처리기는 피부에 압박감을 주지 않고 작동하므로 일반 골전도성 보청기와 관련된 두통 및 피부상처가 생기지 않습니다. Baha는 착용감이 지극히 편안하고 디자인이 세련되었습니다.


양측 전도성 난청
Baha는 양측 전도성 난청 환자들에게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Baha 시스템을 양측에 장치하면 두 귀가 모두 들리게 된다는 증거가 입증되었습니다.



                                                                           출처 : Cochlear Korea 홈페이지              
                





한음보청기(대표 한도형)는 ‘제23회 국제의료기기 의료정보전시회(KIMES 2007)’에서 방수가 가능한 보청기를 선보였다.


SEOUL, Korea (AVING) 한음보청기(대표 한도형)는 ‘제23회 국제의료기기 의료정보전시회(KIMES 2007)’에서 방수가 가능한 보청기를 선보였다.


문의: 027765280
<출처 : 2007년 3월 28일 All Visual Internet News of Goods 신명진 기자 (aving.net)>


난청으로 고민하시는 분들께서 수영을 할때 참으로 애를 먹죠. 보청기 착용이 어려웁기도 하고, 또 수경으로 인해 시계확보가 떨어져 순독(leap reading)도 어렵기 때문인데, 진짜 이런 방수형 보청기가 있다면 참으로 반가운 일입니다.
곧 바로 구입하여 방수원리를 연구해보고 싶습니다.

+ Recent posts